주 의사당 ‘HWPL의 날’ 선포, 카운티·시 5건의 DPCW 결의 제도화 본격화
PLAY 평화교육, 2023년 이후 1,800명 참여…기업·대학·경찰과 연대 확대
총기·학교 안전 문제에 ‘지역 맞춤’ 해법
청년·학교·지자체가 함께 움직였다.
[환경방송=이계정 기자] 미국 남동부 조지아주가 ‘복숭아주’라는 별칭에 ‘평화주’라는 새 이미지를 더하고 있다.
총기 폭력과 학교 안전 저하 등 지역 현안 속에서 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WPL)의 평화활동이 촘촘한 지역 협력망을 만들며 제도와 일상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주 의사당의 기념일 선포에서 카운티·시의 결의 채택, 학교·청년 프로그램과 민관 파트너십까지, 평화가 절차와 생활 속 실천으로 동시에 확산되는 흐름이 눈에 띈다.
정책과 제도의 변화를 동력으로
조지아주내에서는 해마다 2,000명 넘는 시민이 총기 폭력으로 목숨을 잃고, 학교 내 총기사고와 폭력 사건 증가로 학생들의 ‘안전감’은 전국 최하위권이라는 우려가 이어져 왔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의식이 곧 지역 단위 평화 프로젝트의 출발점이 됐다.
조지아 주 의사당에서는 ‘HWPL의 날’이 선포됐고, 2개 카운티와 3개 도시에서 DPCW 제10조 평화문화전파의 정신에 기반한 총 5건의 결의안이 채택됐다.
이 중 디캡카운티는 6월 6~8일을 ‘평화 주말’로 선포하고 ‘평화의 카운티’를 선언했으며, 풀턴카운티는 ‘HWPL의 날’을 제정했다.
스톤크레스트시는 ‘평화의 도시’를 공식 선언하며 평화도시 네트워크 확산의 분기점을 만들었다.
학교와 청년을 중심으로 한 ‘생활 속 평화’
HWPL의 청소년 리더십 기반 평화교육(PLAY)에는 2023년 이후 15개 학교·기관이 참여했고, 누적 1,800명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지역 주민을 위한 위생·식품·의류 나눔 활동으로는 2만 7,735점의 물품이 기부돼 1,323명의 시민에게 직접 지원이 이뤄졌다.
국제청년평화그룹(IPYG)이 주도한 청년 참여·평화구축 워킹그룹(YEPW)도 목소리를 확장하며 현장 문제 해결을 촉진하고 있다.
‘평화 주말’과 ‘평화의 도시’ 같은 상징적 조치가 기반이 된 상황에서 학교현장·청년조직·지역기관의 실천 활동이 촉발되고, 이는 기업·대학·경찰 등과의 연대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
높아지는 평화의 현장 체감
위와 같은 평화사업은 구성원들의 자부심을 높이고 공동체의 분위기에도 긍정적 파장을 만들고 있다는 평가다.
‘복숭아주에서 평화주로’라는 비전이 수사에 그치지 않고, 제도·교육·나눔·연대로 이어지는 다층적 실행으로 현실이 되고 있는 까닭이다.
조지아에서 시작된 이 흐름은 지역이 가진 문제를 지역의 힘으로 풀어내는 ‘로컬 평화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제도적 지지(DPCW 결의)와 생활밀착형 교육·봉사가 맞물릴 때, 평화는 거대한 구호가 아니라 ‘매일의 일’이 된다.
조지아가 보여준 변화는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안전한 학교’, ‘갈등보다 협력이 익숙한 공동체’로 가는 길이 멀지 않음을 증명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