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 성수기 앞두고 괴소문 파다
상주시의 철저한 관리감독 기대

 
외지에서 출하된 별미 곶감이‘상주곶감’으로 둔갑한다는 의혹이 제기돼 브랜드 가치의 오명과 상혼마저 흐리고 있다.

더욱이 진상품이자 전통의 명품 상주곶감 브랜드를 타지에 빼앗기는 형국으로 상주시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요구되고 있다.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서 60여 그루의 ‘대봉’과‘둥시’를 경작하는 엄모(61)씨는“충북 영동지역의 감 재배지에서 생산한 곶감을‘상주곶감’으로 뒤바꿔 브랜드와 상품가치에 치명적 오류를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엄 씨는 아예 곶감시장에서 입찰시 상주 시민만을 참여시키는 특단의 조치나 사전배려가 절박하다고 주문했다.

생산량은 많고 소비량이 낮아 자칫 과잉출하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높지만 고육지책의 생산과 소비 신뢰가 요구되는 곶감 성수기를 우려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곶감의 경우 충북 영동과 지리산 자락 벽산과 함안, 덕유산 지대의 완주 인근에서 생산한 홍시를‘상주곶감’으로 바꿔치는 상행위가 기승을 부린다는 입소문이다.

현지 외남면 소상1,2리 70여 농가는 5만접 이상이나 생산하는 작황을 보이며 전국에서 유일한 곶감특구로 지정돼 고수익을 통한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다.

감 경매 업무만 13년째 하고 있다는 김성실 경매사는“상주지역의 기온과 습도는 곶감 건조에 최적지로 이러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명품 곶감이 만들어 진다”고 말했다.

반면, 영동곶감생산유통영농조합의 관계자는 "금시초문으로 사실과 다르다"며 "생감부터 영동감이 상주감보다 고가로 공판장에서 경매가 이뤄진다"고 부연했다.

익명을 요구하는 그는 "완제 곶감의 외형이 약간 다르고 상품가치는 영동산이 여타 지역에 비해 다소 높은 값에 거래된다"고 지적했다.

영동곶감 출하는 군 관내 황간과 양강 상촌 등 두루 분포되며 일정량의 접이나 세트로 가공해 국내 곶감시장의 파시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같은 추세에 외남면 소상리‘곶감특구’농가들은 상주시가 나서 향토 특산품을 장려하는 명품 브랜드를 위해 관내 17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는 지혜가 바람직하다는 주문이다.

상품가치에서도 무려 ‘둥시’보다 두배를 호가하는‘대봉곶감’출하를 앞두고 일련의 작태는 낙후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란 것이다.

혹자는 실제 상주에서 생산된 곶감을 일부 지역으로 반출시켜‘상주곶감’으로 가공한 후 되파는 수법이 비일비재하다는 주장이다.

상주시 외남면사무소 관계자 역시 “서울 등지에서 시판되는 상주곶감의 브랜드 추락은 일각의 상품위장을 통한 파렴치 행위에 수반된 것으로 곱지않은 시각으로 전해 듣는다”고 말했다.

한동안 중국산이 국내산으로 둔갑해 상거래가 빈번했으나 원산지에 이르는 상주곶감의 타지 전락은 적잖은 후유 파급을 예고하고 있다.

외남면 소상2리의 감 재배농가의 김동균(47) 이장은 “상주지역에 파다하게 나도는 외지산의‘상주곶감’둔갑은 유통과정은 물론 포장작업을 통해 성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상주시와 영농법인 차원에서 불법행위 차단에 나서는 네트워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상주시 산림공원과 곶감계의 성주헌 씨는 "원산지 단속범위 내에서 시청-경찰-품질관리원 등이 공조해 관리감독을 전개하고 있다"면서 "시는 이미 2006년 6월 지리적표시제 12호와 2008년 포장등록제에 이어 생산이력제 등을 적극 검토한후 실효성있는 포장박스 관리와 예찰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사건팀>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