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하수 296개 지점에서 수질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2009년 상-하반기에 걸쳐 지하수 수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4,847개소 중 수질기준을 초과한 296개(6.1%)의 측정망 유형은 오염우려지역 154개소(1,461개소 중 10.5%), 일반지역 86개소(2,430개소 중 3.5%), 국가관측망 56개소(956개소 중 5.9%)로 나타났다.

용도별 초과율은 공업용 7.3%, 생활용 6.0%, 농.어업용 4.4%이며, 음용과 비음용으로 구분하면 각각 6.9%와 5.8%로 기록됐다.

기준 초과의 대부분은 일반오염물질(77%)로 인하며, 음용지하수에서 주로 대장균군 일반세균 등이 초과돼 음용중지 수질개선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공단지역 및 도시주거지역에서 TCE, PCE 등의 초과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유기용제의 오염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농업용수사용지역, 금속광산지역에서는 대장균군, 질산성질소의 초과율이 높았다.

일반지역의 경우, 대부분 일반세균, 대장균군, 질산성질소 등 일반오염물질이 초과했다.

시도별 초과율은 울산이 20.4%로 가장 높고, 충남 8.1%, 경기 7.8%, 경북 4.7% 순으로 높았다.

초과율이 높은 시도는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초과 지점이 많은 것에 기인하고 있으며, 대전, 제주는 수질 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없었다.

국가관측망의 경우, 국토해양부에서 지하수 수위 및 수량조사 등을 위해 수계 유역별 대표지점에 설치, 운영중으로 생활용수 수질기준을 적용할 때 초과율이 5.9%(956개소 중 56개소)로 나타났다.

한편, 주요 초과 오염물질인 미생물(41.8%)과 TCE PCE(35.0%)는 주로 오수, 축산폐수 및 섬유 금속 세정제 등이 주오염원으로 지적됐다.

이는 관정의 위생관리 부실이나 지표의 오염물질은 물론 오염된 천층 지하수가 유입된 것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문희영 기자>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