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김영우 박숙련박사 연구팀

위암 수술전 시행한 검사로 수술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다는 이색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 위암센터 김영우-박숙련 박사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절제수술을 받은 19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서베이 기법을 적용했다.

해당 요법은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 (CT) 검사를 이용해 위암의 병기를 측정, 각각의 병기에서 5년의 생존율을 분석했다.

이 결과 점막에서 시작된 종양이 위벽을 침습해 들어간 정도와 위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된 정도가 모두 5년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수술 전에 병기가 1A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은 96.0%, 1B기인 경우 84.8%, 2기 때는 74.0%, 3A기는 55.5%, 4기는 37.5% 로 나타났다.

위암의 정확한 병기(암의 진행 정도)는 수술 후 떼어낸 위암 조직을 가지고 종양이 위벽을 얼마나 침입했는지, 림프절에 얼마나 많이 전이 되었는지,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를 검사한 후 결정된다.

따라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수술 직후 자신의 병기를 알 수 없고,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는 수일 후 그 결과를 알 수 있다.

의료진은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예측하고, 향후 치료 방법을 계획한다.

즉, 최종 진단은 수술 후 병리검사를 통해 얻어진다.
반면, 수술 전 검사는 암을 진단하고, 그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병기가 정확하지 않고, 장기적 생존률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된 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수술 전 항암치료를 하거나 임상시험 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이러한 수술전 병기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진단이다.

김영우 위암센터장은 "이 연구 결과로 수술전 임상 병기를 토대로 층화 분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며, "수술 전 검사로 병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한 절제여부를 가늠하거나, 수술 전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비뚤림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이 논문은 Annals of Surgery에 최근(2010년 3월호) 게재됐다.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