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대규모 폭풍해일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일차적으로 이를 저지시켜 대피시간을 늘려주는 방재적 기능

인천발전연구원(원장 이갑영)은 12월 24일, 2013년 기본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연안 해안사구 관리방안(연구책임 : 김성우 연구위원)”의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보고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및 중구 지역의 해안사구 분포 현황 및 관리 현황 분석을 토대로 행한 주요 해안사구의 특성분석 및 보전현황평가에 기반하여 인천광역시해안사구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안사구의 범위를 21개소로 확대하여 종합평가한 결과, 보전가치가 높은 ‘양호’ 등급으로 구분된 사구가 11개소, 보전가치가 ‘보통’인 등급으로 구분된 사구가 6개소, 60점 미만의 ‘훼손’ 등급이 4개소 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문별 관리방안은 조례 제정을 위한 제도 개선 부문, 기초자료 구축 및 평가 부문, 중구영종/용유/무의 사구권역, 서해5도 접경도서 사구권역, 접경도서 외 도서 사구권역 등3개 사구권역별 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부문, 복원기술 적용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해안사구는 해안모래의 저장고로서 기후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열대저기압에 의한 태풍, 대규모 폭풍해일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일차적으로 이를 저지시켜 대피시간을 늘려주는 방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안사구는 지하수의 저장고로서 빗물에 의해 습지가 형성되어 농업용수나 식수의 공급처가 되기도 하며, 담수생태계를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희귀한 동식물 서식처로서 생물 종 다양성 및 생태계 가치의 증대에 기여하고 있어도,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해안사구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사구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대부분의 사구지역이 해수욕장, 도로, 군부대시설, 골재채취장, 위락시설, 농경지 등으로 활용되어왔으며 간척, 매립, 관광객의 증가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해안사구가 훼손되고 있다고했다.

해안사구 훼손에 대한 중앙정부(환경부) 차원의 노력은 2000년대 초반 이래로 지속적으로 추진된 바 있으나,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해안사구에 대한 보호 및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 지침이나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국내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차원의 해안사구에 대한 보호 및 보전인식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도, 인천광역시는 서해 연안을 따라 형성된 해안선1,053km에달하고 있어 여느 지역자치단체 못지않게 해안사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관할구역 내 해안사구의 분포나 특성, 관리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사구의 보전 및 훼손상태에 기인한 관리방안에 대하여 기본적인 방향이나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라고했다.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