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소가 무더기로 가동을 중단한 가운데 전력거래소는 최근 전력수급 경보 '준비'(예비전력 400만㎾ 이상 500만㎾ 미만)를 발령했다.

예비전력이 순간적으로 450만㎾ 미만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폭염으로 예년보다 전력수요가 급증 할 것으로 보이는 올여름을 어떻게 견딜지 우려된다.

벌써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원전 가동 중단 사태로 최악의 전력난까지 우려되면서 절전이 화두가 됐기 때문이다.

이미 전력경보가 발령되고 있다. 한마디로 전국에 비상이 걸렸다. 기업체와 관공서는 에너지 절감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특히 전기를 많이 먹는 냉방기와 엘리베이터가 '공공의 적'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부채와 손수건이 올여름 필수품이 될 전망이다.

전기에 민감한 축산농가들은 "정전이라도 된다면 끝장"이라며 노심초사하며 전력난에 대비할 묘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산업현장, 대응책 마련 골몰

LG화학 오창공장은 올해 사용계획 대비 10%의 에너지를 절감하기로 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전담팀까지 꾸려 절감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외부 전문기관 컨설팅을 받을 예정이다.

실내 온도 26도 이상 유지, 3층 이하 이동 시 계단 사용, 간편 복장 착용, 사무기기 절전상태 설정, 센서 이용 자동조명제어 시스템 설치 등 자체 절전 방안을 마련했고 위급 상황 시 비상발전기 가동 태세도 갖췄다.

이 회사 여수공장은 피크 시간대에 가동률을 70% 정도로 낮추고 일시 정지가 가능한 공정은 멈추기로 했다.

원자력 발전소가 무더기로 가동을 중단한 가운데 전력거래소는 4일 오전 전력수급 경보 '준비'(예비전력 400만㎾ 이상 500만㎾ 미만)를 발령했다.
예비전력이 순간적으로 450만㎾ 미만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여수산단의 GS칼텍스는 최고 전력사용량의 3% 이상을 줄이기로 하고 모터(전기)로 가동하는 공정을 피크 시간대에는 터빈(가스)으로 전환하는 등의 대책을 세웠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은 여름철 전력 최대 사용량을 낮추는 한편 전력수급에 문제가 생기면 문자메시지를 통해 경보를 발령하고, 에어컨이나 냉동기 가동도 억제할 방침이다.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의 한 관계자는 "블랙아웃에 대비해 발전기 구비도 검토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시간이 좀 걸린다"며 "만약 블랙아웃이 되면 생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산업시설이 밀집한 울산은 말 그대로 초비상 상태다.

24시간 가동되는 장치산업이 적지 않아 순간의 정전으로도 막대한 피해를 떠안게 되기 때문에 대응 방안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위기 대처의 최선은 모든부문에서 아끼고 줄이는데 고동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정부 전력수급대책에 맞춰 각종 절전 방안을 내놓고 있다.

광역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7∼8월 전력 사용량을 작년 같은 시기보다 15% 줄여야 하고 계약 전력이 100㎾ 이상이면 전력 피크 시간대 사용량을 20% 감축해야 한다.

피크 시간대 냉방기 30분 간격으로 운전·정지, 엘리베이터 사용 자제, 간소복 착용, 냉방온도 28도 이상 유지, 점심시간 일괄 소등, 컴퓨터 전원 끄기 등의 대책을 마련해놓고 있다.

매주 수요일 가정의 날과 연계해 야근 줄이기(인천시), LED조명등 교체 사업 조기 완료(충북도), 호텔과 골프장 등 대형 사업장의 전력 위기 시 자가 발전기 가동(제주도) 등의 시책이 눈에 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해저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제주도는 한 걱정이다. 전력연계선을 통해 육지에서 들어오는 전력 확보가 여의치 않을 경우 전력난이 불 보듯 뻔해서다.

전력거래소 제주지사는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피서철에 전력을 최대치로 공급받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면서 벌써 잔뜩 긴장하고 있다.

지난3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2가 한국전력공사 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관광특구 명동지역 에너지 절약 캠페인 출정식'에서 참석자들이 대형 선풍기로 더위를 식히고 있다.

지자체들은 냉방기를 가동한 채 문을 열고 영업행위를 하는 상가를 수시 단속,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축산농가들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전력난 심화로 만에 하나 전기가 끊기면 가축 집단 폐사 사태를 속수무책으로 바라봐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농가마다 비상발전기를 갖추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공급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각 농가를 대상으로 발전기 보유 현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필요한 곳에는 예산 지원을 해줄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논설주간 이완우>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