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서울시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공동행동

<하동군민과 묘도 주민들은 28일 오후 포스코 광양제철소를 향해 규탄집회를 하고 있다.>

[광화문=권병창 기자]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34년 동안 피 맺힌 피해 주민들의 목소리를 똑똑히 들어라!"

28일 오후 포스코 환경악행 척결 공동행동은(이하 포스코 공동행동) 서울시 광화문광장내 세종대왕상 앞에서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환경 악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포스코 공동행동에는 전남 여수 묘도주민들, 포스코 광양제철소 하동군 피해 대책위원회, 글로벌에코넷, 환경실천연합회,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중앙회 등이 참가했다.

'국민기업'이란 애칭의 굴지 포스코는 지난 1968년에 설립해 1973년 1기 설비 준공 후 많은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포스코의 환경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경의 취약한 문제는 2021년 국회 환경노동위 국정감사에서 진실이 드러나면서 피감기관 포스코는 환경 악행기업이란 오명에 떠밀렸다.

실례로,  환노위 소속 노웅래 의원실이 지난 8월 17일 광양제철소의 슬러지 시료당 최대 1천37mg의 독극물 시안이 검출 토양오염기준 500배에 달한 것으로 집중추궁했다.

이에 묘도 주민들은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암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는 결과가 지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재론됐다.

<김선홍글로벌에코넷 상임회장이 28일 오후 서울시 세종대왕상 앞에서 포스코 광양제철소 규탄 집회를 하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지난 30년 동안 석탄가루와 쇳가루로 인해 채소도 심어 먹을 수 없는데다 창문마저 열어놓을 수 없는 고통속에 살아왔다.

심지어 30년 남짓 주민을 속여온 정부와 포스코는 주민건강을 위해 주민건강 영향조사를 실시하고 자구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강정현 포스코 광양제철소 하동군 피해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우리 하동군민들은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이곳에 들어선 후 34년간 참아왔던 울분을 포스코 광양제철소측에 전달하기 위해 이자리에 섰다."며 상경 집회의 취지를 강조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하동군과의 거리로 불과 1.7km, 차량으로는 5분 밖에 안걸릴 정도로 가까이 있는 지역을 주지했다.

그민큼 포스코 광양제철소 가동으로 인한 환경피해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

강 공동위원장은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우리 하동군민과 함께 가기 위해서는 군 전체 환경피해조사는 물론 농축산물, 섬진강 등 기타 여러 분야별 피해 조사를 하여 그 대책을 강구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이곳 군민들의 34년 한맺힌 목소리를 듣고, 진정으로 지역과 상생하는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다시 한번 거듭날 것을 주문했다.

김선홍 글로벌에코넷 상임회장은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과거에도 지역에서 폐수배출 등으로 과징금 부과 및 대기오염물질 발생으로 지역 주민들 건강권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2020년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 통계에 따르면 먼지 308,751kg, 황산화물 8,558,759kg, 질소산화물 10,225,850kg, 염화수소 1,699kg 등 총 19,095,059kg 발생으로 대기오염 물질별 배출량, 대한민국 1등의 불명예을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그밖에 '16년 5등, 17년 4등, 18년 3등 해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높아진데다, '19년, 20년 1등 급기야 대한민국 1등이란 불명예를 기록하면서 지역 대기오염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환경부가 발표한 대기오염물질 감축 정책을 인용해, "대형 사업장의 적극적인 감축 노력으로 대기오염 물질이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는 환경정책에 역행하고 지적했다.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중앙회 관계자 역시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발생시킨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환경 오염물질이 수십년간 누적돼 지역주민들의 제일 소중한 생명권, 건강권에 막대한 피해영향을 끼친 의혹"을 제기했다.

일련의 상황에 대해 포스코측과 연락을 취했으나, 여의치 못해 부득이 문자로 남겨 현황 조치를 들어보려 했지만, 납득할 만한 해명은 받아보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