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르네상스 폐기론- "후쿠시마를 타산지석으로"
최악의 위기발생에 대한 개연성 존재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최악의 위기발생 가능성 존재

금세기 최대 규모의 후쿠시마의 원전사고, 이제 원자력의 안전신화는 없다

"최악의 방사선 피해상황을 대비하고 원자력의 르네상스를 폐기하라" 11일 오후 2시46분께 일본 도쿄에서 동북쪽으로 380여 ㎞ 남짓 떨어진 도호쿠 지역 산리쿠오키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하는 참사를 빚었다.



이번 지진은 역사상 최악의 지진으로 기록될 전망으로 위력을 실감케 하고 있다. 1923년 14만3,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관동 대지진(리히터 규모 7.8)과 가장 최근 일본에 엄청난 피해를 안긴 고베 대지진(리히터 규모 7.2)의 규모를 초과하는 수준이다.

지금까지 공식 확인된 인명피해만 사망와 실종자를 포함한 1,700여명을 웃돌고 있다. 각국은 서둘러 일본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대지진과 쓰나미의 악몽이 채 가시기전에 제2의 체르노빌 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다는 보도마저 터져나왔다.



현재 사고현장에는 대지진으로 후쿠야마 원전 4호기 중 1호기의 전력 계통에 이상이 생겨 전력공급이 끊겼다. 이에 노심으로 공급돼야 할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아, 핵연료 일부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핵연료의 일부가 녹아내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핵발전은 핵연료의 분열이 시작되면, 인위적으로 분열을 막을 수는 없고, 냉각수를 공급해 온도를 일정 이하로 유지해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데 냉각수 공급이 끊기면서 온도가 급상승해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는 후문이다.

이에 따라 세슘과 요오드 131 등 방사성물질이 새어나와 원전 부근의 방사능 수치가 평소 70배가 넘는다고 일본 경제산업성 원전력 안전보안원이 발표했다.



요오드 131(131I53)은 반감기 8일로 갑상선에 주요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다. 세슘 131(131Cs55)은 반감기만도 약 9일, 폐에 주요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세슘 134(134Cs55)의 반감기는 약 2년, 연조직(soft tissues)에 주요 영향을 끼친다. 세슘 137(137Cs55)는 반감기 약 30년, 연조직(soft tissues)에 주요 영향을 끼친다. 이어 오후 3시36분 쯤 후쿠야마 원전 1호기 격납고 외벽의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일련의 사태에 대해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은 오후 8시40분 쯤 기자회견을 통해 원자로 노심 주위의 수증기가 건물과 격납고 사이에 쌓여 있다가 수증기가 수소로 변하면서 건물이 날아갔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원자로에 바닷물을 채워 냉각시키고 있다는 발표를 했는데 이는 해당 원자로를 영구 폐기하겠다는 의미로 사태의 심각성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

제1 원자력발전소의 1호기 이외에도 제1원전 2, 3호기, 제2원전의 1, 2, 4호기에도 냉각시스템 이상이 발생해, 추후 경과를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전언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번 사고를 8단계 사고평가 척도 가운데 `레벨4`이상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참고로 최악의 원전사고였던 1986년 폭발한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의 사고 평가척도는 `레벨7`이었으며, 1979년 쓰리마일 원전의 사고 평가척도는 ‘레벨4’였다. 이번 사고는 역사상 3번째 최악의 원전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일반시민뿐 아니라, 원전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노동자 공무원 군인들의 피복관리를 철저히 해야할 것이란 지적이다.

원전사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개해야 이번 사고로 일본 일반시민 15명의 피폭이 확인된데다 90여 명이 방사선에 피폭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그러나 실제 원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하는 노동자와 공무원 등의 피폭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이기에 이번 사고로 방사선 피폭을 받은 24명 외에 그 심각성은 시간이 좀 더 지나야 확실히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체르노빌사고의 경우 사고 당일 현장에 투입된 발전소 노동자와 소방요원들이 방사선에 가장 많이 노출돼 31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이후 1989년까지 현장 정리를 위해 동원된 군인 등이 연인원 80여만 명에 이르며, 이중 30만 명이 피폭 허용치의 500배 이상의 피폭을 받았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 후쿠시마 원전의 안전성을 위해 일하는 노동자들과 공무원, 자위대 군인 등의 피폭량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일본 정부의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얼마나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련지 다소 의문이 제기된다. 후쿠야마 제1원전 1호기 폭발이 3시36분 쯤 이었는데, 정부의 공식발표가 있기까지 약 5시간이 걸렸다. 

정부는 이제 국민들에게 방사성 물질의 위험성과 대처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야 한다는게 주지의 사실이다. 위급상황시 초.중등학교 휴교령, 외출 자제, 작물 재배 농민들이 취해야할 사항 등 대비할 수 있는 모든 사항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어, 국민들에게 즉각 알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방송과 통신수단을 동원해 방사성 물질 오염에 대한 대비 지침의 교육과 홍보도 검토해야 한다고 녹색연합은 강조한다. 나아가 체르노빌 사고를 직접 겪었던 독일, 스위스, 스웨덴, 노르웨이 등과 스리마일 사고를 겪은 미국의 방사능 오염사고 대책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 한국의 현실에 응용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 안전 신화는 없다.

원전르네상스 전면 폐기해야" 이번 사고로 원자력 안전신화의 허구성은 다시금 입증됐다는 녹색연합의 성명이다. 체르노빌 사고 이후 잊고 지냈던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위험과 그 피해의 심각성을 다시금 깨닫게 해 주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기후변화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던 핵산업이, 그 이면에 감춰졌던 방사선 피해의 심각성, 공포가 그 실체를 드러낸 것으로 지목했다.

윤기돈 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원자력 르네상스를 부르짖으며, 신규 원전부지 확보에 혈안이 돼 있는 핵산업계는 핵발전의 확대보다 우리에게 닥칠지도 모를 재해에 따른 핵발전 사고의 대비책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사무처장은 "사용 후 핵연료 등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정책에 더욱 만전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고가 일본 국민에게 준 공포는 남의 일이 아니다"며 "핵발전을 가동하는 모든 나라들이 이번 사고를 타산지석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리=정원태 기자/사진=DB자료>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