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반출된 상당량의 석탄폐기물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더욱이 현지 일본에서 전력생산후 남은 오염물질로 알려져 오염도에 대한 재점검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문제의 석탄폐기물이 시멘트 원료와 섞거나 레미콘에 혼합하면 콘크리트 강도가 높아진다는 명분아래 염가로 들여온 것으로 파악된다.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무려 61만3,259톤이 모두 219회에 걸쳐 들여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국은 이 중 27만 톤에 대해서는 반입 여부조차 모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석탄폐기물의 물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것도 유책인데다 허술한 토사 오염도 검사와 국내산 재활용 기피를 둘러싼 부작용이 입도마에 올랐다. 

도달지인 강원도 이미지 추락에 대한 개탄은 물론 일본의 석탄폐기물에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이 함유된 것은 환경보건측면에서 우려섞인 목소리가 팽배하다.

석탄재의 경우 수입전량이 아닌 분기에 한번씩 중금속 검사를 실시한다지만 여기서 매년 미량의 중금속이 검출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요오드와 세슘을 포함한 방사능 검사는 지난 4월에야 처음으로 이뤄졌으며, 석탄재는 산업폐기물로 분류돼 환경부에 수입신고를 필해야 한다.

하지만 당국이 파악한 수입량과 통관을 마친 양은 큰 차이가 나며, 중금속이 함유된 만큼 엄격한 감시와 규제가 필요한데도 이를 소홀히 한게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이다.

국내에도 석탄폐기물이 있는데 굳이 일본산을 쓰는 것도 설득력이 낮다. 다소 질이 좋은 석탄재로 콘크리트 강도를 높이려는 의도는 이해되나 국내산을 외면하고 일본산 반입에는 손사래를 친다. 

국내에도 석탄폐기물이 무려 300만여 톤이나 쌓여 있는데도 불구, 효율적인 처리에 골머리를 앓을 지경이다. 수입에 의존하기보다는 국내산을 재활용하는 자구책이 우선이란 대목이다.

심지어 수급되는 강원도에 일본 폐기물의 처리장으로 둔갑하는 게 아니냐는 불만섞인 반응도 터져나온다.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석탄폐기물 가운데 상당량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폐기물 관리에도 거액이 투입되는 현실이다.

국내 석탄재 재활용 방안을 둘러싼 선대책에 뒤이어 일본산 수입은 그 뒤에 오염문제를 해결하면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