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될 6일 자정께 동계올림픽 유치 확정을 앞두고 촌각을 다투는 세기의 주사위는 던져졌다.

한동안 우리 국민이 그렇게도 소망했건만 ‘겨울 스포츠의 꽃’ 동계올림픽 탈락이란 고배를 연거푸 마시면서 그 후유로 속내만 끓었다.

이날은 그 어느 때보다 유치 확률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나 당면한 것은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절대절명의 호기인 데다 또하나의 올림픽 역사를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두 차례나 낙담한 한국은 이제 자존심이 걸려 있는 盡人事待天命 이기에 노심초사하지 않을 수 없다.

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 IMF이래 악성 부채를 드리운 상당수 레저업체는 물론 강원도의 레저 스포츠계는 절호의 찬스로 반긴다.

국민의 입장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란 여론이 비등하다.

강원 도민과 우리 국민은 기념비적인 동계올림픽 유치를 그토록 열망하는 것 또한 성공적 유치를 계기로 지역 경제가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젊은 층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평창동계올림픽이 유치가 확정되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투자를 손꼽는 이가 많다.

투자유치를 위해서는 다른 지역보다 더 나은 기업 여건을 조성해 주고 투자자를 감동시켜야 한다는 출향인들의 조언이다.

백두대간으로 단절된 지역 주민들은 진정으로 투자자를 지역 발전의 고마운 사람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지론도 흘러나온다.

자기 지역에 기업을 유치해 놓고 막상 공장을 지으려면 비싼 땅 값을 요구하거나 그 사업과 무관한 요구를 하는 이중부담을 주는 불미스런 일은 없어야 한다.

또한,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할 때, 임직원들이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름아닌 자녀들의 교육여건이란 점이다.

이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되면 최우선으로 단행해야 할 기치로 지방행정 혁신을 주문한다.

중앙과 달리 지방은 지역발전에 있어 지자체 공무원의 역할이 막중한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과거보다 많이 나아졌지만, 지자체 공무원의 의식개혁과 능력향상이 더없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중앙부서로 부터 각종 권한과 예산이 지방으로 상당액 이양되는 추이인지라, 지자체의 권한이 커진 점은 반론이 없다.

많은 기업들이 지방자치 실시이후 지방에서 사업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한다.

막대한 예산을 전시성 사업이나 비효율적인 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다. 낭비적인 청사 건축 등이 대표적인 타깃이다.

수요자 위주 행정의식과 경영 마인드 교육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 아울러 비효율적인 지방 공기업과 산하기관을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

리조트 개발 등 민간이 할 수 있는 분야는 민간에 맡기는 것이 효율적이다. 굳이 수범사례를 들어 언급치 않아도 그 타당성에는 고개가 끄덕여 짐은 과언이 아니다.

리조트를 개발할 경우 지자체가 직접 투자하여 운영할 것이 아니라, 민간에게 보조나 인센티브를 주어 투자를 유치해야 한다는 견해다.

지역 발전에 대해 지나치게 중앙 정부에 의존하는 의식과 지리한 패배의식을 불식하는 것이 절실하다.

또 다른 과제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여 전 국민이 희망을 갖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도 할 수 있다(I Can do)’는 성취의식을 제고할 동기부여로 충분하리라 믿는다.

저작권자 © 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